NAT 네트워크로 외부 인터넷이 안될 경우 네트워크를 변경해서 설치해볼 수도 있다.
그냥 설정만 바꾸고 리눅스에서 다시 설정하면 되지만..
내공이 부족한 관계로 무식하게 다시 해본다.
설치 공부도 하고 좋다.
이번 포스팅은 설치 시 공유기를 네트워크로 설정해서 IP를 잡아보도록 하겠다.
자동으로 IP를 잡으면 좋겠지만... 공부하는 것이다 보니 IP가 여러 개 뭉쳐 있으면 보기 힘들다.
내가 사용할수있는IP의 범위를 알고 싶으면
[공유기] 자신의 컴퓨터가 아이피를 받는 범위를 알아보자에서 확인한다.
설치 과정은 1. 가상머신에 슬랙웨어 리눅스 설치하기에서 확인한다.
1. 슬랙웨어 설정에서 네트워크 - 연결을 어댑터에 브리지로 잡는다.
2. 네트워크 설정 시 Static IP로 들어간다.
3. 자신의 IP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는다.
최대한 안 쓰는 뒤쪽 번호를 추천한다.
4. 게이트웨이를 적는 곳이다.
무슨 뜻인지는 몰라도 "Gate"라는 말처럼
어디 들어가는 곳 같다.
이곳을 쓰지 않으면 외부로 통과할 수 없다.
게이트웨이를 찾아보자.
5. 윈도우키 + R로 실행창을 띄운다.
cmd라고 쳐보자.
6. ipconfig라고 쳐본다.
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무선 LAN 목록에서 찾는다.
C:\Users\호스트명>ipconfig |
7. 게이트웨이를 찾았다.
이걸 사용한다.
8. 입력한다.
9. 네임 서버를 지정한다.
10. 가장 유명한 네임 서버다.
무려 구글 님께서 운영하시는 네임 서버라서 IP도 매우 간결하다.
11. 설정이 다 됐으면 Accept로 적용한다.
남은 설정은 이전 포스팅 따라 움직이면 된다.
내공 부족인 관계로 리눅스 내부에서 바꾸는 모습은 아직 못보여준다.
다음에 내공이 조금씩 쌓이면 바꾸는 법도 블로그에 올리겠다.
'컴퓨터 > (리눅스)슬랙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리눅스] 슬랙웨어에 php, nginx 설치해보자. (1) | 2018.09.19 |
---|---|
5. [리눅스] 슬랙웨어에 MariaDB를 설치해보자. (1) | 2018.09.09 |
4. [리눅스] 슬랙웨어 네트워크 ip를 변경해보자. (1) | 2018.02.25 |
3. [리눅스] 슬랙웨어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해보자. (1) | 2018.01.31 |
1. [리눅스] 가상머신에 슬랙웨어 리눅스 설치하기 (3) | 2018.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