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가 되어서 새로운 장기 글쓰기를 생각하다가 결국 리눅스로 결정했다.

그걸 위해서 저번에는 가상머신을 설치해봤다.

물론 듀얼부팅을 하거나 아예 다른 컴퓨터(!)에서 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요즘은 컴퓨터 하나에 가상머신을 여려개 올려서 구동하는 가상컴퓨팅 방식이 많이 쓰인다.

여러 개 컴퓨터 쓰는 것보다 하나의 장비로 여러 운영체제를 올리면 장비가 매우 적어져 유지보수하기 쉽다.

물론 지금 이 설명은 가상 컴퓨팅을 이용하는 업체에 필요한 정보고....

우리들 배우는 입장에서는 그냥 편하니까 ㅋㅋㅋㅋ

 

이번에 설치하는 OS는 리눅스이다.

윈도우는 뭐 지금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거의 다 사용하고 있을 테니 넘어가자.

리눅스는 쉘 환경이 대부분이라 (말 그대로 명령 프롬프트, DOS 환경 같은 거)

개발자들이나 서버 관리자들한테는 리눅스를 안 쓰더라도 필요하다고 들었다.

처음에는 진짜 깜깜하다.

거짓말이 아니라 텍스트 환경이니까 깜깜한데 글자들만 보인다. ㅋㅋ

딱 명령 프롬프트 보듯이...

참고로, 아예 리눅스를 모르는 상태에서는 하지 말도록 하자.

다시는 리눅스를 쳐다보지않을수 있다 ㅋㅋ

먼저 우분투나 CentOS에서 맛을 보고 심화 적으로 공부하면 좋겠다 했을 때 설치하는걸 추천한다.



서두가 길었다.

이번 설치할 리눅스는 슬랙웨어다.

리눅스니까 서버 관리 같은 실용적인걸 해야지.

왜 업계 1위인 레드햇이나 카피판인 CentOS를 안 쓰냐, 우분투 같은걸 쓰라고 말하겠지만.

당연히 그런걸 쓰면 내 블로그 정보는 흔하디흔한 정보가 돼 버린다.

슬랙웨어는 조금 특이한 운영체제다.

우분투나 Mint, 데비안, 페도라, 레드햇, CentOS 같은 리눅스를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알 수 있다.

또한 각각 독특하게 발전을 해서 패키지 설치 명령어도 계열에 따라 다닌다.

하지만 슬랙웨어는 조금 다르다.

이 배포판은 '가장 유닉스다운 리눅스 배포판'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 설치는 텍스트 기반  
  • 패키지 관리자는 tar파일 풀어서 쓰시오 
  • 환경 설정은 텍스트 편집기로 해당 설정 파일을 직접 수정할 것을 고집한다.

매우 안정적임과 동시에 표준 패키지를 제공하는 표준 배포판이라 볼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슬랙웨어의 커다란 특징이다.

실제로, 슬랙웨어를 사용하면서 배우게 되는 지식/테크닉들은 다른 유닉스/리눅스 배포판에도 적용 가능한것이 많지만, 데비안, 젠투등 다른 유명 배포판들을 사용하며 알게 되는 지식/테크닉들은 해당 배포판 전용인 경우가 많다.(해당 배포판에서도 자신들이 제공하는 툴과 세팅방식을 이용할것을 권장한다.) 덕분에 다른 리눅스 배포판을 공부하면 그 리눅스 배포판을 알게되고, 슬랙웨어를 공부하면 리눅스 자체를 알게된다는 소리도 넷상에 자주 떠돌아다닌다. 거기 더해서 설명도 매우 자세하게 해주기때문에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있어 교육용으로는 최고의 배포판이라 볼 수 있다.

(출처 : 나무위키)


이제 설치를 해보자. (스압주의)

버추얼박스 설치를 보고 싶은 사람은

[컴퓨터] 가상머신 설치, 기본 셋팅을 누르자


슬랙웨어 이미지는 토렌트로 받을수 있다. (DVD로 받는걸 추천한다)


1. 버추얼 박스를 실행시켜서 새로 만들기를 누른다.

2. 이렇게 창이 뜨면 밑에 전문가 모드를 눌러주자.

3. 이름은 원하는것으로 잡고 종류는 LINUX/ 버전은 4.x가 있는것으로 한다.

64Bit 환경으로 설치할 사람들은 선택해도 된다.

단, 자기 컴퓨터가 32Bit인데 가상컴퓨터로 64Bit 환경을 만들수는 없다. (원판 불변의 법칙)

4. 보통 8GB로 잡혀있을텐데.. 이 운영체제는 전체설치를 하기 때문에

넉넉하게 20GB를 줬다. (18GB 이상 쓴다고 보면 된다)

5. 운영체제 리스트가 뜨면 설정에 들어간다.

6. 시스템-프로세서에서 원하는 코어를 선택하고 확장기능 체크한다.

32Bit에서도 4GB이상 메모리를 인식하게 할수있다.

7. 저장소로 들어오면 컨트롤러 밑에 CD 이미지가 보일것이다.

CD 이미지 누르고 오른쪽 속성에 보면 CD 이미지가 하나 더 있다.

거기서 찾아보기로 슬랙웨어 ISO를 찾는다.

8. 컨트롤러SATA 항목에서 호스트I/O 캐시 사용하기 체크한다.

사용 속도가 다를것이다.

9. 네트워크 항목에서 저번에 잡아주었던 NAT 네트워크 적용한다.

그럼 설정되었던 이름이 뜰것이다.

네트워크를 공유기에서 바로 받고 싶은사람은 다음장에 준비 하겠다.

10. 이제 실행해보자.

컴퓨터로 치면 전원 버튼 누르는거랑 같다.

11. 첫 화면부터 영어 크리 ㅋㅋㅋㅋㅋ

자세히 읽어보면 엔터키를 누르면 기본 커널로 부팅이 된다고 한다.

눌러주자.

12. 뭔가 주루루루룩 넘어간다.

13. 키보드 맵을 선택하는 구간이다.

그냥 기본값은 US 키보드이다.

우리가 쓰는 키보드 알파벳 자리라서 걱정할 필요없다.

엔터를 눌러주자.

14. 또 영어;;;;

그래도 친절하게 리눅스 관련된 파티션이 한게 혹은 이상으로 필요하다고 말하고있다.

파티션이 있으면 setup 명령어를 처달라고 한다.

로그인을 위해 root라고 치자.

15. 파티션을 나누기 위해 사용할수 있는 명령어를 줬다.

cfdisk 혹은 fdisk

fdisk 명령어는 도스에도 있었던거 같은데...

좀 편해진 cfdisk를 입력한다.

root@slackware:/# cfdisk


16. 모르면 기본값이라고 했다 ㅋㅋㅋ

파티션이라는게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이

C드라이브 D 드라이브처럼 구역을 나눈다고 보면 편하다.

17. 가장 위쪽에 디스크 경로가 나타나있다.

/dev/sda

이제는 하드 빈공간에 new로 새로 만들어본다.

18. New 누르면 처음에 전체 용량이 선택된다.

지우고 2G라고 쓰자.

스왑영역으로 할당하기 위함이다.

대부분 따라 했으면 메모리를 1G로 설정이 되었을텐데

스왑영역은 메모리의 2배로 설정한다고 했다. (필수는 아닌듯)

2기가 할당한다.

19. 2기가가 할당된 모습.

남은 18기가도 구역을 나누도록 한다.

20. 20기가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2개의 구역으로 나눴다.

실제로는 부팅, dev, tmp등등 여러 구역으로 나눠야한다.

이 방식은 보안상 좋지 않지만 우리는 공부목적이니 크게 신경쓰지 말자.

21. 2기가 할당된 sda1에 맞추고 type를 선택한다.

22. 기본값 바로 위에 Linux Swap이라고 되어있다.

그걸 선택하자.

23. Type이 변경되었다.

이상태에서 Write를 눌러주자.

24. 밑에 글자가 변경되어서 파티션 테이블을 디스크에 기록하겠냐고 물어본다.

절때 'y'라고 누르지 마라.

친절하게 yes, no라고 쳐라고 경고가 써있다.

25. 기록 되었으면 나가자.

26. 리눅스 파티션 나눴으면 setup을 쳐라고 처음에 말했었다.

root@slackware:/# setup 


27. 거무튀튀한 화면에서 그나마 색상이 있는곳으로 들어왔다.

우리는 키맵을 지정한 상태니 3번째 항목인

'ADD SWAP'으로 들어간다.

28. 바로 swap 영역을 찾았다.

계속 진행하자.

29. 스왑 파티션 체크해서 Bad Blocks 찾겠다고 한다.

옛날 컴퓨터나 사용하던 중고면 해봐도 괜찮다.

새거면 해봤자 시간낭비다.

우리는 'No'

30. 스왑 영역이 완료됬다고 뜬다.

31. 바로 다음으로 넘어가져서 리눅스 설치 파티션을 지정한다.

내가 동그라미를 친 부분은 원래 여러 파티션으로 나눴을경우 나타나는 구역이다.

우리는 굳이 필요 없다.

32.  영역 체크할려면 2번째를 누르면 된다.

우리는 설치를 해야하니 포맷을 하자.

33. 파일시스템을 선택하는 항목들이다.

윈도우는 NTFS

리눅스는 EXT2~4

솔라리스는 ZFS

알아두면 좋다. (언젠간 쓸일이 있다)

34. 포맷이 진행된다.

35. /는 최상위 디렉토리다.

/dev/sda 라는 뜻은

/ 밑에 dev이름을 가진 폴더 밑에 sda라는 뜻이다.

최상위 디렉토리가 ext4로 포맷이 됬다.

36. 우리는 ISO로 넣었으니 1번 항목이다.

USB에 구워서 하는 사람은 2번으로 하자.

37. 오토로 들어가서 작업하자.

38. 리눅스에 필요하거나 설치하고싶은 프로그램 간략 리스트이다.

저대로 설치하면 용량을 꽤 잡아먹는다.

대신 Xwindow라고 그래픽환경도 같이 설치가 된다.

최소설치 하고싶은 사람은 A, AP, D, F, K, L, N

7개 리스트들만 설치하면 된다.

그렇게 설치하면 그래픽 환경도 없고

최소설치하면 5G 정도만 사용하게 된다.

스페이스바로 선택할 수 있다.

39. 파일 호환성이랑 구조를 파악된 사람은 커스텀으로 할수있다.

우리는 그냥 편하게 full 설치 하자.

40. 이제 알아서 설치가 된다.

설치하다가 용량문제로 에러가 날수있다.

넉넉하게 20기가 이상 잡아주자.

41. 부팅 디스켓 (요즘은 USB로 만드는듯하다.)

우리는 필요 없으니 스킵하자.

42. LILO 항목이다.

LILO (LInux LOader, 리눅스 로더)는 리눅스를 위한 부트 로더이다.

LILO는 특정한 파일 시스템에 의지하지 않으며, 하드 디스크(이를테면 리눅스 커널)로부터 운영 체제를 시동할 수 있다.

자동 설치 해준다니까 simple 항목으로 들어가자.

43. 무슨 항목이 저렇게 많냐....

우리는 기본 스텐다드로 선택.

44. 커널 관련된 옵션 항목이다.

그냥 엔터 눌러서 지나가자.

45. 여기서는 no;;;

모르면 기본값이라고 했다 ㅋㅋㅋㅋㅋ

46. 마스터 부트 레코드를 설치해야한다.

47. 어떤 마우스가 더 나은지는 모르겠다...

그냥 기본값을 선택했더만 알아서 인식하더라.

오오 승리의 마이크로소프트(응?!)

48. 마우스가 설정됬다고 알려준다.

49. 드디어 중요한 네트워크가 나왔다.

설정을 위해 yes

50. 호스트네임을 쓰자.

51. 내 머신 도메인네임을 써주자.

어차피 저 주소를 쳐서 들어가봤자

웹서버, DNS서버를 만들지 않았으므로 의미는 없다.

52. 우리는 자동으로 잡자.

NAT 네트워크 설정했던 사람들은 10.0.2.1 ~ 10.0.2.254 중에서 잡을것이다.

이건 서브넷 마스크가 영역을 지정해주는것인데...

네크워크를 공부하면 알수 있는 영역이다.

만일 서버 공부한다면 네트워크 공부도 해놓는것이 좋다.

53. 여기는 그냥 넘어가자.

54. 설정된것을 다시한번 보여준다.

틀린것이 없다면 넘어가자.

55. 리눅스가 시작되면 자동으로 실행될 서비스들을 체크하는 곳이다.

하나하나 읽어보고 체크해도 되고 그냥 넘어가도 된다.

어차피 자기가 필요한것은 리눅스상에서 실행시키고 부팅시 자동시작되게 할수있다.

괜히 처음부터 다 실행시키면 리소스 많이 먹는다.

56. 커스텀은 하지말자.

기본값인 'No'

57. 어느것을 선택해도 모르지만..

나는 UTC(협정 세계시) 시간을 잡기 위해 YES했다.

58. 밑으로 쭉 내려보면 Asia/Seoul 있다.

그냥 귀찮은 사람은 J 누르면 일본이라고 뜬다.

한국과 일본은 같은 시간대니까 원하는것을 고르자.

아니면 꼭 한국을 선택해야겠다면

알파벳 'B'를 누른다.

위로 몇 번 올리면 서울이 보인다.

B를 누르면 B로 시작하는 나라가 뜨는데 (브라질이었나?)

한국은 Asia/Seoul이라서 A 항목 뒤에 있어서 매우 가깝다.

59. 윈도우 매니저를 선택할수 있다.

X윈도우는 여러 매니저를 선택할수 있다.

예전에는 KDE는 데스크톱 환경으로 따로 분류 했었지만

지금은 'KDE 소프트웨어 모음'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KDE는 그만큼 많이 무겁기 때문에

저사양을 원하는 사람은 xfce 부터 밑에것들을 선택하면 된다.

(요즘은 xfce도 무겁다;;)

60. 이제 루트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정하자.

리눅스 운영체제의 최고 관리자라서 엄청난 권한이 있다.

사용자 생성, 삭제, rm -rf /

61. 유닉스 계열 특성상 패스워드를 입력해도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입력 안된다고 막 누르지 말것

62. 모든 설치가 끝났다.

여기까지 따라온다고 수고 많았다.

63. 이제 EXIT로 나가자.

64. 재부팅 할것이냐, 남아서 뭘 더 하겠냐 물어보는데

할것 없으면 재부팅 시작하자.

65. 운영체제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부팅화면이다.

2분동안 기다리지 말고 엔터키로 들어가자.

66. 시작되면서 여러가지가 실행되는것이 보인다.

67. 다른 유저를 만들지 않았으므로 최고 관리자인 root를 입력한다.

패스워드는 설정했던것을 입력하자.

당연히 여기서도 패스워드 입력되는것은 보이지 않는다.


여기까지 따라온다고 (혹은 읽는다고) 정말 수고 많았다.

한국에서는 인기도 없고 미러서버도 없는 슬랙웨어를 왜 선택했는지 의문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슬랙웨어로 한번 공부해보고 다른 리눅스를 가보는것도 좋다.

가장 기본적인 리눅스라서 여기서 배우고 적용하는 기술들은 대부분 운영체제에 적용이 된다.

무엇보다 이런 운영체제도 쓰는사람이 많아서 디스트로워치 상위 50위 안에 들어있다.

설치는 끝냈으니 이제 뭘 해야할지 모르겠네...

여러가지 작업을 해보고 정리가 되면 다음 주제로 돌아오겠다.


Posted by 땡조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