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리눅스] 슬랙웨어 네트워크 ip를 변경해보자.
어휴.. 요즘 기사공부한다고 바빠서 포스팅을 엄두도 못낸다.
오늘은 약간 여유가 생겨서 급하게 하나 해본다.
지금까지 IP는 설치할때만 입력했는데
리눅스도 운영체제라서 IP를 변경할 수 있다.
1. 구글에게 Ping을 날려보았다.
통신이 안되어서 unknown이라고 뜬다.
2. 우리는 가상 컴퓨터지만
실제로는 네트워크가 물리적으로 되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3. 현재 설정으로는 어댑터에 브리지로 잡혀있다.
집에 있는 실제 공유기에서 하나 IP를 받아온다.
하지만 이번에는 컴퓨터를 한번 거쳐서 나가보도록 하겠다.
(NAT으로 설정한 사람은 이번에 어뎁터에 브리지로 해보자)
4. NAT 네트워크로 변경한다.
그럼 목록에 저번에 설정해둔 Test 이름이 뜬다.
5. 10.0.2.x 네트워크를 사용할수 있도록 셋팅이 되어있다.
10.0.2.1 ~ 10.0.2.254 까지 사용가능하다.
6. rc.inet1 설정파일을 건들여야한다.
root@호스트명 :~# vim /etc/rc.d/rc.inet1.conf |
7. IPADDR 항목에 NAT 네트워크(10.0.2.x)와 다른 IP가 등록되어있다.
저걸 NAT 네트워크에 맞춰야 한다.
(설정에 브리지로 맞춘 사람은 브리지 IP에 맞게 변경하자)
8. VIM 편집기라서 현재 화살표 외에는 키가 잘 안먹는다.
아무거나 누르지 말고 i 키를 누르자.
가장 밑에 insert 항목이 뜨면서 입력이 가능하게 변경된다.
9. del 키도 잘 먹히니까 조심해서 지우고 설정된 네트워크에 맞게 변경한다.
10. 밑으로 내려가서 게이트웨이도 변경한다.
입력 안되어 있으면 바깥으로 나갈수가 없다.
가장 흔한 게이트웨이는 가장 앞번호인 1
아니면 가장 뒷번호인 254중 하나로 잡는다.
11. ESC키를 눌러서 insert 모드에서 빠져나가자.
ESC키 누르면 insert가 사라진다.
12. 저장하고 나가자.
13. 세팅을 변경했으니 적용을 해줘야한다.
무식하게 운영체제를 재부팅하지 말자.
네트워크를 껐다가 켜면 충분하다.
끄는 명령어부터 적는다.
root@호스트명 :~# /etc/rc.d/rc.inet1 stop |
14. 명령어가 재대로 들어갔으면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이제 켜야한다.
root@호스트명 :~# /etc/rc.d/rc.inet1 start |
명령어를 2번 입력하기 귀찮은 사람은 그냥 재실행 명령어를 쳐도 된다.
root@호스트명 :~# /etc/rc.d/rc.inet1 restart |
15. 다시한번 구글에게 핑을 보내보자.
16. 핑이 넘어가는걸 확인하면 IP 변경 성공한것이다.
오늘은 꽤 짧았다.
그래도 이거라도 할수있으니 다행.
포스팅이 조금 느리지만 이해해주면 감사하겠다.
추가 (2018.10.19)
편하게 툴로 네트워크를 잡을 수 있다.
더군다나 DNS서버도 편하게 지정할수있으므로 툴로 해결하자.
17. netconfig명령어를 입력한다.
18. 바로 호스트네임을 지정할 수 있다.
19. 도메인도 입력하자.
20. 수동으로 넣을지 DHCP로 잡을지 선택할 수 있다.
21. 나는 수동으로 잡기로 해서 IP를 넣었다.
22. 서브넷도 넣는다.
23. 게이트웨이도 넣는다.
24. 네임서버를 지정할 수 있다.
25. 최신 DNS 1.1.1.1를 넣었다.
26. 최종확인을 할 수 있다.
27. 완료하고 나간다.
28. 그래도 인터넷이 안될것이다.
설정을 했으면 네트워크를 재시작 해준다.
29. ping으로 구글에게 보내본다.
잘 넘어가면 끝